이승희 더샌드박스 한국사업총괄이사 "P2E 핵심은 재미…사용자가 아이템도 만들고 게임도 제작한다"
페이지 정보
본문
이승희 더샌드박스 한국사업총괄이사가 지난 3일 디센터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디센터. |
이승희 더샌드박스 한국사업총괄이사는 지난 3일 디센터와 만나 더샌드박스가 추구하는 미래를 이같이 설명했다. 더샌드박스는 홍콩 소재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의 자회사로 대체불가능한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했다. 플랫폼은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잠재성을 인정받았다. 지난 달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 등으로부터 1,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더샌드박스는 지난 10월 한국에 첫 지사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메타버스 시장 공략에 나섰다.
━“블록체인과 NFT가 차기 게임 시장 이끌 것" 이승희 이사는 지난 8월 더샌드박스에 합류했다. 그는 지난 17년 간 게임 업계에서 경력을 쌓은 베테랑이다. 엔씨소프트 (KS:036570), 엔픽셀, 스마일게이트, 더블유게임즈 등 굵직한 게임사에서 핵심 역할을 맡아왔다. 카카오게임즈에 인수된 블록체인 플랫폼 보라 대표도 역임했다. 더샌드박스에 합류한 계기를 묻자 이 이사는 “오랜 기간 게임 업계에 있으면서 다음 세대 게임 모습을 고민했다”며 “블록체인과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이 차기 게임 시장을 이끌어갈 미래라고 판단했다”고 답했다.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를 만들고 소유하며, 게임으로 돈을 버는 ‘플레이투언(P2E, Play-To-Earn)’ 방식을 차세대 게임 모델이라 여겼다는 뜻이다.
━게임 제작 툴 제공서부터 펀드 조성까지…사용자 참여 독려 더샌드박스에선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NFT로 발행하고 게임을 제작할 수 있다. 게임 내 거래는 기축통화인 샌드박스(SAND)로 이뤄진다. SAND는 상장돼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현금화 가능하다. 더샌드박스는 사용자가 코딩을 몰라도 아이템과 게임을 만들 수 있도록 관련 소프트웨어를 지원하고 있다. 복스에딧과 게임메이커가 그것이다. 제작한 게임은 더샌드박스 내 가상공간인 랜드(LAND)에 올릴 수 있다. 이 LAND도 NFT로 발행되는데, 위치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14일 오후 2시 30분 오픈씨 기준 LAND 최저가는 3ETH다. 같은 시간 빗썸 기준 1ETH은 약466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즉 더샌드박스에 게임을 올리기 위해선 가스피(gas fee)까지 포함해 최소 1,400만 원 이상 투자해야 한다는 의미다.
더 샌드박스 내 LAND 소유자가 표시돼 있는 지도다. 협력 관계인 네이버 (KS:035420) 제페토도 LAND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더 샌드박스 맵 일부 화면 캡쳐. |
━게임사·엔터테인먼트 기업 등 IP 기업과 협력…사용자 유입 전략 일환 더샌드박스는 네이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부터 아타리, 워킹데드, 스머프 등 다양한 IP기업과 협업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이사는 “IP를 확보하면 사용자가 IP를 활용해 아이템 및 게임을 만들 수 있다”고 전했다. 표면상 경쟁관계처럼 보이는 게임사도 IP 확보 차원에선 협력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게 이 이사 설명이다. 그는 “게임성만 따져보면 대형 게임사들이 만드는 게임이 더 재미있고 퀄리티가 높다”면서도 “더샌드박스에선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대형 게임사와) 재미있는 콜라보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IP 확보 차원에서 더 샌드박스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와도 적극 협력하고 있다. 스눕독과 협업해 NFT를 출시한 데 이어 최근에는 국내 아이돌그룹 비투비 소속사 큐브엔터테인먼트, 쇼미더머니 래퍼 ‘쿤타’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IP 확보로 더 많은 사용자를 생태계로 유입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한국은 컨텐츠 소비 속도 빨라…재미있는 콘텐츠 선보일 것” 이 이사는 “전세계에서 한국인이 LAND를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더샌드박스가 한국에 첫 지사를 설립한 배경을 전했다. 그는 “게임 서비스를 지속해왔지만 한국처럼 콘텐츠 소비 속도가 빠르고, 몰입도가 높은 지역을 찾기 어렵다”며 “인터넷 사양도 게임 확산의 주요한 요소인데, 한국은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P2E 모델은 게임으로 보상을 받는다는 개념이지만 게임이 노동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재미라는 게임의 핵심 가치를 저버리면 성공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현재 더 샌드박스 일부 서버만 공개한 알파 시즌이 진행 중인데 내년에는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