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진단] 日, 엔저 해결은 금리 인상 뿐..일본리스크 대비해야
페이지 정보
본문
[인포스탁데일리=박남숙 기자]
출처=아이클릭아트
미국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달러 강세가 대세지만 일본과 중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심각하다.
지난 21일, 엔화가치는 초저금리정책 지속 등으로 심리적 저항선인 달러당 150엔을 돌파하며 약 3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엔·달러 환율은 30% 가까이 급락하며 역대급 엔저 현상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여전히 확장적인 통화정책을 펴고 있다.
는 최양오 ISD기업정책연구원장, 김종효 ISD기업정책연구원 전문위원, 박명석 기자와 여타 전문가들과 함께 역대급 일본의 엔저 현상 분석과 전망 그리고 향후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출처=아이클릭아트
◇ 엔저 현상..일본 경제 악화 위기일 수도
아시아의 양대 통화인 일본의 엔화와 중국의 위안화가 흔들리면서 한국에 미칠 영향도 커지고 있다.
이미 엔화의 가치 하락은 일본의 실물 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통상 통화가치 하락은 수출 가격 경쟁력의 제고로 이어져 무역수지에 긍정적이지만, 수입물가 급등의 부정적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해 일본의 상반기 무역수지는 역대 최악 수준을 기록했다.
급격한 엔화 약세가 진행되면서 일본의 소비자물가도 40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일본 총무성이 28일 발표한 도쿄 23구(區)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작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 이는 1989년 10월 이후 3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최양오 ISD기업정책연구원장은 "엔화가 약 3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일본 금융당국이 시장에 개입했는데 어디까지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일본에서는 엔저가 국시(國是)로 아베노믹스의 기본이고 아베노믹스를 설계하고 집행하고 보존해 나가고 있는 것이 바로 구로다 일본은행 총재로 2013년부터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8일,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기자 회견에서 "2% 물가상승이라는 목표 실현을 향해 필요한 시점까지 금융완화를 지속하겠다"며 "필요하다면 주저하지 않고 추가 금융완화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이 엔저를 지속하는 이유는 일본이 외환보유고 세계 2위, 대외 순자산 세계 1위, 무제한 통화스와프 6개 국가와 체결한 것을 믿고 엔저에 중독되고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문제는 일본의 엔화 약세가 홍콩증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지난 28일, 홍콩증시는 2009년 4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김종효 ISD기업정책연구원 전문위원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홍콩증시에서 발을 빼면서 중국과 일본이 흔들리는 상황은 우리에게 전혀 유리하지 않다"며 "일본이 달러를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루로 여기고 있는데 일본 경제가 다시 한번 망가지는 상황으로 가면 지금의 정책을 유지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일본 내부에서도 자조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 외환정책의 책임자인 재무성 재무관을 역임한 와타나베 히로시 국제통화연구소 이사장은 27일 발행된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의 엔화 약세는 미일 금리 차이로만 설명되고 있지만, 엔저의 절반 이상은 일본의 국력 전체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하락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며 엔화 가치 하락의 근저에는 일본의 국제경쟁력 저하가 있다고 지적했다.
엔저 비상 출처=뉴스1
◇ 해외 투자자금 회수와 금리 인상이 엔저 해결책..일본리스크 염두
엔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외 투자자금 회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일본 정부 기관에서 해외에 글로벌 투자한 자금을 다 회수해야하고 일본은행은 긴축 기조로 가야한다"며 "일본은 GDP대비 국가 부채가 261%라 외국인들이 아닌 애국심에서 일본인들만 국채를 사고 있다"고 판단했다.
일본인들이 낮은 금리에도 은행에 예금하고 낮은 금리에도 일본 국채에 투자하는 이유는 성장이 없고 물가가 계속 제로에 있다고 생각해서다. 임금 기준으로 유일하게 성장이 없는 디플레가 지속됐던 나라가 일본이다.
그런데 이제 일본도 물가가 올라가기 시작한다면, 지금의 통화 완화 정책 기조를 무너뜨릴 수밖에 없는데 이런 정책 기조가 무너졌을 때 과연 그동안 일본 국가를 믿고 국채에 투자하고 일본 은행에 돈을 예치했던 사람들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일본도 고민해야 된다는 지적이다.
혹여 일본에 금융위기가 와, 아시아를 벗어나는 자금 회수가 진행된다면 우리나라도 외국인 수급에 위험성이 올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일본계 금융사를 통해 우리나라에 투입된 금리 트레이드도 변동성이 생길 수 있다. 최근까지도 금융 완화 정책을 하고 있는 일본이 살아야 할 길은 결국 금리인상 뿐이다.
일본 역사를 보면 1968년도에 G2에 등극하고, 1970년에 인구가 1억명이 되어 내수만으로 사는 경제를 만들었다. 플라자 합의 전까지는 미국의 경제를 이길 태세였지만 혁신이 사라졌다. 자동차, 반도체 부문의 경쟁력이 다른 나라로 넘어가면서 일본 산업은 쇠퇴되었고 고령화 비율이 27%까지 높아졌다. 일본은 국민들이 가난하지는 않지만 그렇게 잘 살지도 않는 상황이면서도 나라는 부자다.
최양오 ISD기업정책연구원장은 "이런 것들이 합쳐져 혁신이란 마인드가 없어진 상태로 사회적인 지도자가 나와서 흐름을 바꿔야 한다"며 "지금 일본의 주요 신문들에 나오는 사설의 제목은 '일본은 가난해지고 한국은 부자된다. G7에 한국이 대신 참가할수도' 혹은 '돈 많은 일본인은 열도를 버리고 도망가는 중'으로 표현되고 있어 일본이 쇠퇴할 수 있다는 사실과 엔저 현상이 우리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해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효 ISD기업정책연구원 전문위원은 "우리가 유럽의 시스템 리스크와 중국의 부동산 문제 등의 두 가지 리스크는 알고 있던 악재로 어느 정도 대비할 수 있었는데, 일본 리스크는 우리가 반영하지 않았던 리스크로 이 리스크가 확대된다면 홍콩과 더불어 우리가 하나의 리스크를 더 안는 것"이라며 "새로운 리스크 하나를 추가하는 것은 부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남숙 기자 pns@infostock.co.kr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