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人] 이광재 의원 “스토리 거래소, 영화 속 명대사 한 줄도 돈이 된다"
페이지 정보
본문
/성형주 기자 |
이광재(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7일 서울경제 블록체인 매체 디센터와의 인터뷰에서 “스토리 거래소에서는 영화와 드라마, 연극 등의 유명 대사를 대체불가능한토큰(NFT)로 발행해 거래할 수 있다”면서 “창작자는 일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고 소비자는 작가의 작품을 원하는 부분만 쪼개어 가질 수 있어 서로에게 윈윈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스토리 거래소는 가상자산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이 의원이 직접 구상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 거래소다. 블록체인 기술을 공익 목적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다가 생각해 냈다. 그림·영상처럼 시각화한 작품을 주로 거래하는 기존 거래소들과 달리 무형의 스토리를 작은 단위로 NFT화해 거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의원은 “해리포터의 원작자인 조앤.K.롤링은 과거에 수많은 출판사의 문들 두드렸지만 모두 거절 당해 어려움을 겪었던 시절이 있었다"면서 “국내에서도 대중과 접촉할 수 있는 창구가 없어 무명 시절의 조앤.K.롤링처럼 어려운 환경에 놓인 무명 작가, 문화·예술인들이 많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러면서 "스토리 거래소는 유명 작가가 아니어도 언제든지 자신의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할 수 있고 소비자도 필요한 만큼 구매할 수 있어 척박한 문화·예술인들의 처우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대표적인 친암호화폐 정치인이다. 국회에 다시 입성하기 전인 여시재 원장 시절부터 블록체인이 인공지능(AI)과 함께 미래 기술 인프라가 될 것으로 보고 업계 전문가들과 소통해왔다. 최근엔 헌정 사상 최초로 정치후원금을 암호화폐로 받고 있다. 후원자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5가지 암호화폐로 후원금을 낼 수 있다. 이 의원은 “규제를 돌파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며 새로운 시도를 추진한 배경을 전했다. 이 의원은 “미국과 싱가포르 등 선진국에선 암호화폐 산업을 인정하고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표준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제도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싱가포르개발은행(DBS)처럼 기관 주도의 거래소를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주장했다. 공신력 있는 기관이 뛰어들면 시장이 보다 투명해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DBS는 지난 2020년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출범 시킨데 이어 지난해 1130만 달러 규모의 증권형토큰(STO)도 발행했다. 정부가 출자한 산업은행이 암호화폐 거래소를 설립하고 STO까지 진행한 셈이다. 국내에선 STO가 금지된 것과 대조된다.
이 의원은 “한국공항공사 같은 공기업의 주식을 증권형토큰으로 발행해 10대, 20대 청년에게 나눠주고 배당 수익을 지급하면 일반 세금을 쓰지 않고도 청년의 자산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전국민이 공기업 주인이 되고, 이익을 나눠 가지면서 보다 투명한 경영도 가능해질 것이란 이 의원의 생각이다.
가상자산 산업을 부흥시켜야 하는 이유를 묻자 이 의원은 “메타버스에서 전에 없던 일자리가 생기고 다양한 소득이 창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는 “메타버스에서 가상자산을 활용해 각자 일한 만큼 보상을 받는 체계가 구축되면 새로운 일자리와 소득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시장 규모가 전세계로 확장됐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면서 "NFT로 발행된 콘텐츠는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 강국인 한국이 메타버스에서 디지털 경제 영토를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덧붙였다.
이광재 의원이 최근 실험을 시작한 가상자산 암호화폐 모금 지갑 QR 주소를 직접 보여주고 있다. /성형주 기자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