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우려에 잔뜩 움추린 중국 NFT 시장, 자체 검열 강화
페이지 정보
본문
중국 IT 대기업들이 대체불가토큰(NFT)에 대한 자체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의 공식 입장 없이 NFT 시장이 활성화되는 가운데, 갑작스러운 정부 단속과 규제 피해를 우려하며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2022년 3월 21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국 유명 소셜미디어인 위챗은 거래 정책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NFT 플랫폼 계정들을 삭제했으며, IT 대기업 앤트그룹과 텐센트는 NFT 관련 이용약관을 개정하며 선제적인 불법 행위 근절에 나섰다.
위챗이 삭제한 NFT 플랫폼 계정 중에는 인기 NFT 프로젝트 시후넘버원(Xihu No.1)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명 NFT 플랫폼 동이위엔디엔(Dongyiyuandian)은 "공식 앱이 금지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앤트그룹이 출시한 디지털 수집품 플랫폼 '웨일토크(WhaleTalk)'는 이용 약관을 변경해 NFT를 장외시장에서 거래할 경우 부과하는 위약금 수준을 높였다.
현지 매체는 "디지털 수집품에 대한 규제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들이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적극적인 단속을 시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 암호화폐 단속 당시, 당국이 관련 기업에 엄중한 책임을 물었던 것을 목격한 기업들이 알아서 시장 단속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매체는 최근 NFT 플랫폼 관련 불법 거래와 봇(bot) 거래가 증가하며 투기성이 드러난 것도 이같은 행보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짚었다.
2021년 정부는 인민일보 자매지 증권일보를 통해 "NFT 거래에 큰 거품이 껴 있다"며 부정적인 시각을 전달했지만 공식적인 금지 입장을 내놓거나 제재에 나서진 않았다.
이같은 규제 공백 속에 앤트그룹, 텐센트, 징동닷컴, 바이두, 신화통신 등 중국 대기업들이 '디지털 수집품'이라는 이름으로 NFT 사업을 추진했으며 관련해 특허를 출원하기도 했다. 자체적으로 고강도 자율 규제를 마련하는 등 당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신중하게 NFT 시장을 확장해왔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통한 탈중앙화 흐름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중국은 중앙 통제력을 잃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2021년 1월에는 "암호화폐와 연결되지 않고, NFT를 발행·관리할 수 있는 원스탑 샵을 제공하겠다"면서 국가에서 직접 운영하는 NFT 플랫폼을 개설하기도 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