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가상자산 기업 600곳 몰려 시너지…홍콩·日도 민관 뭉쳐 웹3 육성
페이지 정보
본문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MCC)에는 크립토센터가 구축돼 있다. 사진 제공=DMCC |
미래 먹거리인 블록체인 산업을 두고 전 세계 국가의 패권 전쟁이 치열하다. 한때 가상자산 시장을 주도하던 미국이 당국의 엇박자 규제로 주춤하는 동안 유럽연합(EU)은 올해 5월 전 세계 최초로 가상자산 관련 단독 법안을 통과시키며 경쟁에 불을 댕겼다. 그러나 서구 선진국들을 제치고 가상자산 허브를 노리는 다크호스들의 기세도 만만찮다. 지리적 이점과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업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나, 한국과 달리 당국이 나서 가상자산 산업을 육성 중인 홍콩과 일본의 행보에도 이목이 쏠린다.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MCC)에 조성된 크립토센터에서 가상자산 기업 관계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제공=DMCC |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MCC) 크립토센터의 입주 기업 관계자들. 사진 제공=DMCC |
중동에서 두바이가 선두에 서 있다면 아시아에서는 홍콩과 일본의 기싸움이 치열하다. 홍콩 정부가 조성한 정보기술(IT)산업단지, 사이버포트의 기업 육성 프로그램(CIP)은 매년 400개 이상의 기업들이 130개의 자리를 두고 경쟁한다. 정부의 지원 아래 대학 수준의 인재 양성부터 투자자 매칭까지 웹3 창업 과정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웹3은 이용자들이 권한을 나눠 갖고 웹을 이용(탈중앙화)하는 모델로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시장의 토대가 된다.
사이버포트에서는 민간·공공투자자가 힘을 합쳐 약 680억 원 규모의 ‘사이버포트매크로펀드(CMF)’를 조직했을 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을 견인하기 위해 ‘웹3 허브’ 부서도 신설했다. 홍콩 정부는 올해 초 사이버포트에 약 85억 원의 예산을 배정하고 ‘웹3 아카데미’를 신설해 일반 대중의 웹3에 대한 인식 제고에도 나섰다. 사이버포트 관계자는 디센터와 만나 “지속 가능한 웹3 생태계를 위해 기업이 번창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인재 양성, 산업 육성, 대중 인식 제고 세 가지 분야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민관이 하나로 뭉쳐 웹3 육성에 나섰다. 일본 의회, 정부의 웹3프로젝트팀과 웹3정책추진실은 업계와 주기적으로 소통해 세제 문제 등 애로 사항을 정책에 반영한다. 일본 금융 당국은 자율 규제 기구 일본암호자산거래소협회(JVCEA)를 공식적으로 인가해 당국에 준하는 권한을 위임하고 자율 규제의 기반을 확보했다. 웹3을 하나의 산업 기반으로 만들겠다는 일본 정부의 확신은 대기업의 참여도 이끌었다.
일례로 일본 최대 이동통신 사업자 NTT도코모는 지난해 웹3 기술에 약 5조 66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기업 소니도 일본 현지 블록체인 기업인 아스타네트워크의 계열사 스타테일랩스에 약 46억 원을 투자하고 이달 합작법인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아베 요시 하이퍼리즘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소니나 도요타 등 대기업에서도 투자를 늘리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케이 오다 퀀트스탬프 일본 담당자는 “대기업의 진출은 웹3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이라고 평가했다.
결국 정부의 명확한 규제가 가상자산 산업을 일으킬 핵심이라는 지적이다. 베르트랑 페레즈 웹3재단 최고경영자(CEO)는 “대기업이 두려움 없이 웹3에 투자하도록 한 명확한 정책이 일본의 웹3 발전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본 기획물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